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9.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by Innate Sense 2023. 6. 16.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대하여

이번 시간에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잉여라고 하니까 뭔가 '잉여 인간' 같은 부정적인 의미의 뉘앙스로 들리셨나요? 아쉽게도 잉여란 '쓰고 난 나머지'란 뜻을 갖습니다. 쉬운 말로는 '남아도는' 이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영어로는 surplus라고 쓰고요. 경제학에서는 잉여가 많을수록 좋으며 후생경제학의 경우 사회 총 잉여를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인 학문입니다.

한 예로 기업에서 영업 실적이 흑자이면 당연히 자본금이 더 많아지게 되는데, 그 차이를 '이익 잉여금'이라고 합니다. 기업에 비용을 제하고도 남는 돈이 생기니 정말 좋은 의미죠?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시장의 효율성과 경제적 이익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각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간단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한 가격과 실제로 지불할 준비가 있는 최대 가격(여기서는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한도) 사이의 차입니다. 즉, 소비자가 얼마나 싼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소비자잉여는 수요 곡선과 시장 가격 사이의 삼각형 영역으로 표현됩니다.

 

생산자잉여는 생산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실제로 받는 가격과 판매 준비가 있는 최소 가격(여기서는 가격을 받을 의사가 있는 한도) 사이의 차입니다. 즉, 생산자가 얼마나 높은 가격에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생산자잉여는 공급 곡선과 시장 가격 사이의 삼각형 영역으로 표현됩니다.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변화

이제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첫째로, 가격의 감소는 소비자잉여의 증가와 생산자잉여의 감소를 가져옵니다. 가격이 내려갈수록 소비자는 더 많은 양의 상품을 더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잉여가 증가합니다. 한편, 생산자는 상품을 더 낮은 가격으로 판매해야 하므로 생산자잉여가 감소합니다.

 

둘째로, 가격의 상승은 소비자잉여의 감소와 생산자잉여의 증가를 초래합니다. 가격이 올라갈수록 소비자는 더 적은 양의 상품을 더 높은 가격으로 구매해야 하므로 소비자잉여가 감소합니다. 생산자는 상품을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으므로 생산자잉여가 증가합니다.

 

세 번째로, 수요 곡선 또는 공급 곡선의 변화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를 모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요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시장 가격은 상승하고 수요의 증가로 인해 소비자잉여가 감소하고 생산자잉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요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시장 가격은 하락하고 수요의 감소로 인해 소비자잉여가 증가하고 생산자잉여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원리로 공급 곡선의 변화도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영향을 미칩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정책 개입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입은 종종 시장의 효율성을 향상하거나 재정 분배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집니다.

 

첫째로, 정부는 가격을 조절하여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가격조정은 주로 가격상한제나 가격하한제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가격상한제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최대 가격을 제한하는 정부의 정책입니다. 이에 따라 시장 가격이 하한선을 넘지 못하게 되어 생산자들의 수익이 제한되고, 소비자는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소비자잉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격 제한은 공급 부족이나 품질 저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가격하한제

반면, 가격하한제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최소 가격을 제한하는 정부의 정책입니다. 이에 따라 시장 가격이 상한선을 넘지 못하게 되어 소비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고, 생산자들은 수익을 늘릴 수 있어 생산자잉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격하한제도 가격조정의 부작용을 가질 수 있으며, 시장의 경제적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정부는 세금 혜택이나 보조금을 통해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세금을 감소시키거나 면제하는 정부의 정책입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상품을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어 소비자잉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보조금은 정부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생산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이에 따라 생산자들은 생산 비용을 절감하거나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생산자잉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정부는 시장의 외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입할 수 있습니다. 외부성은 시장의 경제 주체 외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의미합니다. 외부성 문제는 종종 시장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규제, 세금, 보조금 등을 통해 개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 오염 문제는 외부성의 한 예입니다. 정부는 환경 보호를 위해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를 도입하거나, 친환경 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여 시장의 외부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외부성 문제에 대한 개입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대한 개념과 각각의 변화 요인에 대해 포스팅 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경제 현상을 분석한다면 소비자와 생산자의 이익을 고려하여 시장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피구세  (0) 2023.06.16
10. 비교우위론  (0) 2023.06.16
8. 가격상한제와 가격하한제  (0) 2023.06.16
7. 수요 공급이론으로 보는 정책 효과  (0) 2023.06.15
6. 수요의 탄력성  (0) 2023.06.15